등산 이야기/암벽 등반 51

[특집]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5)...손기술

암벽을 오름에 있어, 바위 유형별로 오르는 기술이 다 다른 것이 아니다. 모든 암벽에는 단 하나의 기술이 적용된다. 즉, 단 하나의 이론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홀더(면)를 잡고 홀더면에 수직하게 체중(힘)을 작용시켜 주면 된다. 그러면 손이 홀더면에 압착이 되어 미끄럼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체중을 수직하게 작용시키는 것은 손에서 미끄럼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미끄럼을 이해하는 것이 암벽기술이다. 이 기술은 실내암장, 암벽, 암릉등 모든 바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물리법칙이다. 이를 위배하면 미끄럼이 더 발생하고, 힘의 소모가 더 커진다. 즉 오르기 더 어려워 진다. 난이도는 정상홀더보다 비정상홀더(사선홀더, 수직홀더, 덮장바위 등)가 더 높다. 그리고 비정상 정도(기울기가 급해질수록)가 심해질수록..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4)

도전 계획을 수립하고 간섭자(연장자 등)들의 간섭이 심해졌다. 아침에 일어나니 이들이 붙어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오늘 실전 연습을 하지 않고, 집 부근 옹벽에서 간단하게 연습했다. 연습 중에 여러 가지 질문을 한다. 여기서 ‘바위를 바룬다’라는 것과 ‘바위에도 길이 있다.’라는 것을 설명했다. 그러니 이제는 모두 이해를 했다고 한다. 나는 내 기술이 암벽 기초 기술의 전부이며, 모든 암벽 유형에 적용되는 단 하나의 기술로, 세계 암벽 교본에 실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 기술의 핵심은 ‘홀더 면을 수직하게 잡고, 밟으며 체중을 수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다.’ 그래야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물리법칙이므로 위배하면 미끄럼이 더 많이 발생하고, 힘의 소모가 많아진다. 누군가 ‘홀더면을 잡..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6)---손가락 끝마디 근력

간섭자(연장자)들이 붙어서 밤새 괴롭힌다. 어제도 이른 아침까지 잠을 자지 못하게 했다. 도전을 계획하면서 내가 수립한 전략이 그들과 생각과 정반대라고 한다. 본인들의 판단에 따라 훈련하면 된다.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무슨 전략을 제시한단 말인가? 그들의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간섭에 몇 일 남지 않은 시간 속에서 훈련이 방황을 한다.  그리고 그들은 늘 평가를 하고자 한다. 이번 주말에 관악산 육봉릿지를 하라고 한다.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 갈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 늘 전날 밤에 피해를 입힌다. 피해를 입히면서 가라고 하는 것은 서로 간의 예의가 아니다. 잘못된 질서는 분쟁만 야기한다.  *늘 같이 하려는 놈들로 인하여 밤에 잠을 잘 수가 없다. 친한 친구하고도 동업을 꺼리는데 왜 모르는 놈들과 같이 해..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5)---근력강화순서

암벽등반은 중력과 미끄럼을 이기는 운동이라고 했다. 그래서 암벽등반을 잘하기 위해서는 이 두가지 요소를 이길 수 있는 강한 근력과 기술이 있어야 한다. 중력은 힘으로 이겨야 한다. 그래서 이를 이길 수 있는 근력이 필수적이다. 홀더를 잡고 버티는 힘은 주로 전완근(팔뚝근력)이 담당하므로 이곳의 근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음은 당기는 힘으로 팔과 어깨가 담당하므로 이를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 발도 마찬가지이다. 홀더를 밟고 버티는 힘은 종아리 힘이 중요하지만 일어서는 힘은 하체 전체의 근력이 좋아야 한다. *홀더를 잡고 당길 때에는 일반적으로 전완근외에 삼두건이 좋아야 한다. 일반 턱걸이 당길 때를 생각하면 된다. 반면 손바닥을 돌려서 잡고 턱걸이를 하면 이두건이 좋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덮장바위를 잡을 때..

[특집] 암벽등반기술(고수의 조건)

실전 암벽등반(프리솔로 등반)을 잘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각 항목별로 세부적으로 알아보기로 하자. 1. 암벽등반에 대한 개념(이해도)이 있어야 한다.어떤 분야에서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한다. 암벽을 간단하게 정의를 하면 중력과 미끄럼을 이기는 운동이다. 중력을 거슬러 올라가는 운동이므로 중력을 이겨야 한다. 이것은 힘으로 이겨야 한다. 즉 근력을 키워 극복해야 한다.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을 키우는 것이 첫 번째 일이다. 실전암벽에서는 근력과 기술의 비중이 6:4정도로 근력이 더 필요하다. 다음은 암벽등반은 경사진 곳을 오르는 운동이다. 지면이 경사가 지면 미끄럼이 발생한다. 이 미끄럼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한다. 미끄럼을 이기기 위해서는 ..

[특집] 암벽등반 기술

나는 산악종주를 하면서 능선릿지를 부분적으로 하였다. 그러다가 약 5년간의 공백기를 거치고 2021년부터 암벽등반을 정식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2023년에 북한산 노적봉을 프리솔로 등반에 성공하였다. 그간 암벽등반(능선릿지 프리솔로)의 실력향상을 위하여 나름대로 개발한 기술과 훈련방법을 최종 정리하여 소개하겠다. 암벽등반은 중력과 미끄럼을 이기는 운동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첫째 나의 체중을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것은 중력을 거스르는 행위이므로 반드시 힘(근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선적으로 힘(근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필요한 근력은 상체근력과 하체 근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체근력은 손으로 홀더를 잡고 자기 체중을 이길 수 있도록 손(손가락 끝마디), 팔, 어깨의 근력을 ..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3)

□ 수직홀더 유형세 번째 바위 유형(홀더 유형)은 크랙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위이다. 수직 크랙을 잡고 등반하는 유형이다. 이것도 비정상 홀더이다. 사선 크랙보다 경사가 심하여 난이도가 높다. 또한 등반하기 위하여는 강한 근력이 필요하다. 등반자세는 수직 크랙(푸른색)을 잡고 몸을 수직 크랙에 수직(붉은색 쪽)하게 이동시켜야 한다. 그래야만 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세에서도 팔을 펴듯이 하고 상체의 힘을 뒤로 누이면 하체의 힘은 반대로 암벽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 힘을 이용하여 발을 경사면을 수직하게 밟아주면 좀 더 쉽게 안정된 자세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수직으로 크랙이 형성된 바위의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등반사진이다. 모두 수직 크랙에 수직으로 체중을 작용시키며 등반..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2)

암벽을 등반하기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암벽에 구성되어 있는 홀더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상홀더인지, 비정상 홀더인지를...그래야만 정자세로 등반할 것인지 아니면 몸을 이동시켜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다음의 그림을 보고 바위 유형별(홀더 유형별)로 어떠한 등반 자세를 취하여야 하는지를 알아보겠다. 아래에 설명한 4가지 유형의 바위를 무리없이 등반할 수 있으면 대부분의 바위는 등반할수 있으므로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사선홀더 유형첫 번째 바위 유형(홀더 유형)은 바위가 경사져 있어 바위의 경사진 모서리를 잡고 등반해야 하는 유형이다(아래 그림). 이 모서리는 비정상홀더로 취급할 수 있다. 비정상 홀더는 정상자세로는 등반할 수 없고 우리의 몸을 이동시켜 야만 등반이..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1)

암벽기술의 가장 기초이며 기본이 되는 기술은 홀더를 미끄러지지 않게 잡고 밟는 것이다. 그래야만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다음 등반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홀더를 미끄러지지 않게 잡고 밟는 기술은 앞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손으로 홀더 면을 잡았을 때 체중을 홀더 면에 수직하게 작용시켜야 하고, 발로는 경사면이나 홀더 면을 수직하게 밟아야 한다고 했다. 그럼 이 개념을 가지고 다음의 그림을 보면서 기술을 설명해 보기로 하겠다. 천종원 선수이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보아야 할 점은 첫째 자세이다. 이 자세는 삼지점 자세라 한다. 삼지점 자세란 홀드를 잡았을 때 몸이 흔들리거나 돌아가지 않게 벽에 안정적으로 서 있는 최적의 자세. 손 두개, 발 두 개 중에 하나는 떼야 다음 홀드를 잡을 수 있기 때..

등산기술---정상홀더, 비정상홀더(2)

나는 능선 릿지를 주로 하는 아마추어 암벽 등반가이다. 그리고 주로 프리솔로로 등반한다. 프리솔로의 기초자질에 대하여는 앞에서 설명을 했다. 이번에는 프리솔로를 잘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요소 가운데 기술적인 부분 중 필요한 등반 요령을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프리솔로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면 두려움이 찾아온다. 그러면 자신감이 떨어지고 위축되어 내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안전을 확보해야만 두려움도 극복하기 쉽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안전을 확보하면서 안전한 등반을 할 수 있을까... 홀더를 잘 선택하는 것이다. 암벽에는 많은 홀더들이 구성되어 있다. 이중 우선적으로 정상홀더를 선택하여 등반하는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정상홀더란 정자세로 잡아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