릿지는 암벽보다 낮은 난이도의 암릉을 등반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릿지 등산화를 신고하며, 특별한 안전장비를 갖추지 않고 한다. 그러나 실력의 차이에 따라 암벽화를 신고 할 수도 있고, 안전장비를 갖추고 할 수도 있다.
릿지 등반은 우선 발만으로 등반하며,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손을 사용한다. 그래서 릿지 기술은 발(하체)로 등반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우선적으로 기술을 숙달시켜야 한다. 경사가 낮을 경우(평지) 발바닥이 모두 땅에 닿지만, 경사가 급할수록 발바닥이 지면에 닫는 면적이 줄어들며, 경사가 최고 급한 경우 발끝만 닿는다(암벽의 경우).
릿지등반을 위한 기초 요건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경사면에서 미끄럼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세가 좋으면 웬만한 경사에서도 손을 사용하지 않고 등반할 수 있다. 경사면을 오를 때 상체를 곧게 펴야(지면과 수직하게)하며 몸의 무게중심을 약간 낮추어 등반하는 것이 안전하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발은 경사면에 수직하게 밞아야 마찰력이 최대가 되어 미끄럼을 방지 할수 있다. 그리고 허리는 세우고 가슴은 펴야 한다. 상체의 작용에 의하여 마찰력의 크기도 달라진다.
두번째로 균형감각이 좋아야 한다. 경사가 급해질수록 발바닥이 지면과 닿는 부분이 적어지므로 중심을 잡기가 힘들어진다. 그래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균형 감각이 필요하다. 균형 감각이 흐트러지면 등반이 불안해진다. 그리고 중심이 무너진다.
세번째로 발의 근력(주로 발가락)을 키우는 것이다. 발근력이 좋아지면 급한 경사면에서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힘이 증가하여 제동력이 강해진다. 암벽화를 신고할 경우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그리고 엄지발가락 근력을 집중하여 강화할 경우 작은 돌기에서도 엄지발가락만으로 체중을 지지할 수 있어 등반력이 강해진다.
넷번째로 하체근력이다. 릿지등반은 같은 경사도의 토산보다 등반에 힘이 많이 든다.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로 하체의 힘이 더 필요하다.
다섯 번째로 손의 근력(주로 손가락)을 키우는 것이다. 경사가 급해질수록 좋은 자세와 발의 근력만으로 등반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손을 사용하지 않는 릿지 등반에서도 추락이나 미끄럼이 발생할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 안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자기 체중을 이길 수 있는 손의 근력도 필요하다.
'등산 이야기 > 암벽 등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3)---발가락 끝마디 운동방법 (0) | 2022.03.07 |
---|---|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2)---손가락 턱걸이 운동방법 (0) | 2022.03.06 |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1)---턱걸이 (0) | 2022.03.06 |
등산기술---릿지등반(2) (0) | 2021.11.21 |
등산기술---암벽등반의 기초요건(1)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