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등반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요건들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적으로 중요한 요소는 기초 근력과 기초 기술(자세)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운동이 그러하듯 그 운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근력을 기르는 것이 우선이다. 기초 근력이란 손으로 홀드를 잡고 당기거나, 발로 밟고 일어서 버티는 힘이다. 손(가락)으로 자기 체중을 버티거나, 당길 수 있는 근력과 발(가락)로 자기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근력이다. 경사가 급할수록, 잡을 곳과 디딜 곳이 적을수록 더욱 강한 근력이 요구된다.
근력이 부족하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동력이 부족하고 등반력이 약해져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기 체중을 이길 수 있는 손(가락)과 발(가락)의 기초근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기초 기술(자세)이다. 잡고 디딜 때 안정된(안전한) 자세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감이 생겨나고 다음 등반을 위해 팔을 뻗을 수 있고, 발을 내 디딜 수 있다. 불안한 자세에서는 두려움이 커져 다음 동작수행에 제한을 주며,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다. 또한 불안한 자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의 힘이 요구되어 체력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암벽등반에서는 잡고 디딜 때 안전한 자세가 나오도록 동작을 취하여야 한다. 이것이 바른자세이며 이를 때 등반이 쉬워진다. 안정된(안전한) 자세란 암벽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나 디딜 때 무게중심이 지지되고 잡을 때 내 몸이 흔들리거나 돌아가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자세가 좋아야 발전이 빠르다.
이 두 가지 요소가 완비되면 웬만한 암벽등반은 가능해지며 나아가 고난도의 등반기술 습득이 쉬워지며 발전성도 좋아진다. 나는 특별히 실내암장이나 동우회 모임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암벽기술 습득의 기회가 부족하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기초요건을 기반으로 인수봉 고독길을 프리솔로로 등반하였다.
*안정된(안전한) 자세란 삼지점 자세와 같은 것이라 본다. 이글을 쓰기 전에는 삼지점을 알지 못했다. 삼지점 자세란 홀드를 잡았을 때 몸이 흔들리거나 돌아가지 않게 벽에 안정적으로 서 있는 최적의 자세. 손 두개, 발 두개중에 하나는 떼야 다음 홀드를 잡을수 있기 때문에 세 개의 점으로 가장 편한 모양을 만드는 것이다. 기본적인 삼지점 자세는 다리를 어깨너비 보다 좀 더 벌리고 서서 양손은 가슴팍에 있는 홀드를 잡는 것이다. 다음 무릎을 바깥으로 벌린 채 쪼그려 앉고 팔을 쭉 편다. 그러면 정삼각형에 가까운 안정적인 자세를 만들 수 있다.
'등산 이야기 > 암벽 등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3)---발가락 끝마디 운동방법 (0) | 2022.03.07 |
---|---|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2)---손가락 턱걸이 운동방법 (0) | 2022.03.06 |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1)---턱걸이 (0) | 2022.03.06 |
등산기술---릿지등반(2) (0) | 2021.11.21 |
등산기술---릿지등반(1) (0) | 202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