릿지등반이나 암벽등반이나 기초는 우선 발로 걸어서 오르는 것이다. 그러다가 경사가 급해져 발로만 균형을 유지 하지 못할 때 이제 손을 사용하여야 한다. 잘 걷는 것이 기초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잘 밟는 요령을 알아야 한다.
손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비슷한 이론이 적용된다. 지면이면 지면을, 경사면이면 경사면을, 직벽이면 직벽을, 홀더면이면 홀더면을 수직하게 밟아야 한다. 그리고 체중(힘)이 그 면에 수직하게 가해져야 한다. 그래야 발에서 마찰력이 최대가 되어 미끄럼을 예방할 수가 있다. 발에서의 마찰력은 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상체를 어떻게 작용시키느냐가 발기술의 중요한 사항이다. 아래의 그림으로 각 유형별로 발기술을 설명하겠다.
평지를 걸을 때의 경우이다. 자연적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체중(힘)이 작용되므로 마찰력이 최대가 된다. 그래서 허리를 세우고, 어깨를 펴서 바른 자세를 취하면 미끄럼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경사면을 등반할 때의 경우이다. 여기서도 경사면을 수직하게 밞고, 체중(힘)을 경사면에 수직하게 작용시켜야 마찰력이 최대가 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기서도 상체를 꼿꼿이 세워주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체중(힘)이 경사면에 수직에 가깝게 작용시킬 수 있다. 경사면을 등반할 때 이것을 얼마나 잘 하느냐가 기술이다. 경사면에 수직하게 체중을 작용시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100%는 어려움, 실선 빨간 화살표) . 이것을 잘해야 릿지 등반을 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체를 세우면 최대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면 앞으로 숙이는데 미끄럼을 더 유발하게 된다(왼쪽보다 오른쪽이 미끄럼 더 발생). 발에서 마찰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체를 작용(일반적으로 세우면 유리)시키는 것이 발기술의 대부분이다. 마찰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나의 지식 중 '미끄럼에 대한 고찰'편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다음의 그림은 슬랩부 등반요령이다. 슬랩부를 등반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배로 바위쪽으로 붙이고, 상체는 세우고 머리를 들어야 한다(개인적으로 일명 코브라가 머리를 드는 자세 비슷하여 코브라 자세로 부름). 그럼 발에서의 마찰력이 최대가 되어 미끄럼이 덜 발생한다(왼쪽그림). 반대의 자세가 되면 미끄럼이 더 발생하게 된다.(오른쪽 그림).
경사면을 하산할 때의 경우에는 경사가 완만하면 일반적인 자세로 걸어서 내려오면 된다. 그러다가 경사가 급해져 걸어서 내려오기에 두려움을 느낄 때, 오르는 자세로 하여 뒤로 내려와야 한다(왼쪽그림). 이유는 첫 번째 덜 미끄러지는 자세이다. 그래서 두려움도 덜 하다. 두 번째 미끄러져도 방어하기가 쉬워진다. 반면에 일반적인 자세로 내려오면 미끄러지기 더 쉬워 두려움도 더 많이 느낀다. 또한, 미끄럼 발생시 방어도 어려워져 사고의 우려가 높아진다.(오른쪽 그림)
경사면을 등반할 때는 다음 사항이 좋아야 등반력이 좋아진다. 걸을 때는 한발만이 지면에 닿는다. 그래서 평지보다 한발의 근력과 한발의 균형감각이 더 좋아야 한다. 경사가 급해질수록 더 좋아져야 한다. 그리고 발에서의 마찰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체를 잘 작용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허리를 세우고 걸으면 우리의 체중(힘)이 경사면에 수직에 가깝게 작용하게 되어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그래서 덜 미끄러진다. 릿지등반에서는 이것이 기술이며, 나는 이 기술을 숙달시켜 난이도 5-11까지 걸어서 등반이 가능하다.
직벽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직벽을 수직하게 밟아야 한다. 그래야 마찰력이 최대가 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가 있다. 직벽에 홀더가 붙어 있는 경우는 우선적으로 홀더를 밟는 것이 쉬우며, 없을 경우 직벽이라도 밟아야 한다.
직벽을 등반할 때에는 한 발이 가슴정도까지 올라와 주어야 직벽에 수직하게 밟을 수가 있다. 그래야 미끄럼을 최대한 방지할수가 있다. 근력이 강해야 하며, 숙달이 필요한 자세이다.
홀더면일 경우를 보자. 여기서도 홀더면에 수직하게 밟아야 한다. 그래야 마찰력이 최대가 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등산 이야기 > 암벽 등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8)...실내암장과 실전암벽의 차이 (0) | 2025.03.15 |
---|---|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7)...근력의 이해 (0) | 2025.03.15 |
[특집]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5)...손기술 (0) | 2025.03.10 |
그림으로 보는 암벽기술(4) (0) | 2025.03.08 |
암벽등반에 필요한 근력운동(6)---손가락 끝마디 근력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