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튜브에서 축지법을 한다는 사람들에 관한 동영상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나의 등산기술 중 내려오는 기술을 사용하여 산에서 뛰어 내려오고 있었다.
산에서 내려 올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경사가 급할수록 보폭을 줄여야 한다. 왜냐하면 보폭이 크면 앞발에 걸리는 하중이 증가하여 관절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사가 급하면 보폭을 줄이고, 경사가 완만하면 보폭을 평상시에 가깝게 늘려가며 보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지그재그로 보행하여야 한다. 내려 올 때는 가속도가 붙는다. 가속도를 제어하지 않으면 속도가 증가하여 사고우려가 높다. 그래서 속도 제어를 위하여 지그재그로 내려와야 한다. 이것은 뛰어서 내려 올 때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
동영상의 축지법 기술은 다름 아닌 위 의 기술을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보폭을 줄이고 지그재그로 산에서 뛰어 내려오고 있었다. 내가 산에서 뛰어서 내려오는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나의 기술은 축지법과 거리가 멀다. 축지법이란 산에서 뿐만 아니라(오르는것 포함) 평지에서도 가능하여야 한다. 나의 기술은 평지에서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평지에서 보폭을 줄일 필요도 없고, 더욱 지그재그로 뛸 필요도 없다. 나의 기술은 평지에서 사용하면 더 늦다. 축지법을 한다는 동영상의 사람들도 축지법을 쓰는 것이 아니다. 나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이 평지에서도 산에서 처럼 빠르게 뛰는 동영상은 없다.
산에서도 평지에서 뛰는 것처럼 수직으로 뛰어 내려오는 것이 가장 빠르다. 앞발에 걸리는 하중을 이겨내고 빨라지는 속도를 제동할 수 있는 아주 강한 근력이 있으면 평지처럼 뛰는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근력을 키우는 것은 매우 힘들다. 그래서 보폭을 줄이고 지그재그로 뛰어 내려오는 것이다. 산에서는 이렇게 라도 뛰어서 내려오는 것이 빠른 것이다.
이 글은 적는 이유는 나의 기술은 산에서 내려올 때 모든 사람에게 유용한 보행법이기 때문이다. 부상(관절손상등)과 안전사고를 줄이고 즐거운 산행을 위하여 누구에게나 도움이 되는 보행법이기 때문이다.
'등산 이야기 > 산악 종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악종주 기술 (0) | 2023.11.17 |
---|---|
등산기술---산행시 보행법 (0) | 2022.06.05 |
북한산성 종주 후기 (0) | 2021.11.24 |
설악산 종주 후기 (0) | 2021.11.24 |
등산기술---장거리 등산에 필요한 요건들 (0) | 2016.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