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야기/시황분석

이동평균선 해석(1)

푸른바위 2023. 12. 23. 09:40

다음의 자료는 내가 개발한 '이동평균선 상호작용의 법칙'을 이용하여 2023.02.03.일자에 나스닥 차트를 보고 시황을 분석한 시황일지이다. 나는 이 원리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선의 진행방향을 예측한다. 즉 주가의 진행방향를 예측한다. 그리고 매수매도 시점을 찾는데 활용하고 있다. 예시 자료로 등재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나스닥 시황분석일지(2023.02.03.일 작성)

나스닥 차트를 보니 240일선(1년)을 갭 상승하여 돌파했다. 일단은 좋은 신호이다. 그러나 240일선이 역배열이다. 일반적으로 240일선이 역배열 일 때 돌파하면 상승이 오래 가지 못한다. 240일선을 수평으로 돌려놓아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정배열이 되어 상승추세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은 물량을 늘릴 때가 아니다. 조정을 받든지, 횡보한 다음 상승을 모색할 것 같다. 이때 물량을 늘려도 늘려야 한다. 지금은 단기적으로 많이 상승한 상태이다...조금 기다리며 장을 지켜보는 것이 낫다.

 

이동평균선은 수렴과 확산을 반복하며 진행한다. 240일선이 역배열일 때 5일선이 돌파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형상이다. 이는 확산이 극대화되는 진행이다. 그러면 반드시 수렴을 한다. 수렴은 강한 이동평균선으로 수렴한다. 그래서 5일선이 240일선으로 수렴하게 되어 있다. 지금 나스닥의 차트가 이러한 형태이다. 그래서 상승을 해도 오래가지 못하고 240일선으로 수렴을 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지금은 잠시 지켜보는 것이 낫다... 진정한 상승은 모든 이동평균선이 같은 방향으로 상승을 진행한다. 이것이 정배열 상승이라 한다.

 

평가

2.3일자(오각형)는 5일선(빨간색)이 240일선(검은색)을 갭 돌파하고 하루 하락한 날짜이다. 이때 차트를 보고 시황을 분석했다. 이후의 주가 흐름은 계속 하락하여 240일선을 다시 하락 돌파했고 120일선(고동색)에서 지지 받고 다시 240일선을 상승 돌파를 했다. 이후 일정기간 횡보를 했다. 이 행보의 의미는 240일선을 수평으로 돌려세우기 위한 과정이다. 240일선을 수평으로 돌려세우고 같이 상승을 시작하였다. 이때(둥근원) 물량을 늘리고, 쌍봉(삼각형)에서 매도를 하여도 수익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