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야기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의 비밀(1)

푸른바위 2023. 11. 15. 13:15

골든크로스라고 해서 모두 좋은 것이 아니며, 데드크로스라고 해서 모두 나쁜 것이 아니다.

 

이동평균선이란 일정기간의 주가를 합하여 그 해당일수로 나누어 구한다.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선 등이 있다.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평균치의 진행방향을 확인하고 그날의 주가가 이 진행방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주가동향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이동평균선을 해석할 때 이동평균선이 교차하는 것을 크로스라 한다. 이중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를 할 때 골든크로스라 하고 매수의 좋은 신호로 해석한다. 반대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 할 때 데드크로스라 하고 매도의 신호로 해석한다.

 

골든크로스가 발생할 때나, 아래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을 때를 매수 신호로, 반대로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때나, 상위 이동평균선의 저항 받을 때를 매도 신호로 해석하여 주식의 매수·매도 시점을 찾는다. 이것을 기준으로 매수·매도 시점을 찾은 것이 그랜빌의 8법칙이다.

 

그러나 골든크로스라고 해서 모두 좋은 신호가 아니며, 데드크로스라고 해서 모두 나쁜 신호가 아니다. 이것을 알아야 이동평균선을 해석할 때 오류를 줄이고 신뢰도를 높일 수가 있다. 그랜빌의 8법칙에서도 골든크로스에서 매도신호로, 데드크로스에서 매수신호로 해석한 것이 있다. 왜 이런 분석이 나올까?

 

이것은 하위이평선이 상위이평선을 상향 돌파를 할 때나, 하향돌파를 할 때에 상위이평선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위 이평선이 우하향(역배열)인지, 우상향(정배열)인지에 따라 매수를 해야 할지, 매도를 해야 할지가 다르게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