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야기

주가 순환기별 매매방법(역배열 하락기)

푸른바위 2023. 11. 27. 17:28

이번에는 주가 순환기별 장세 중에서 역배열 하락기에서의 매매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이 시기는 경기가 침체기에 접어들어 기업실적이 나빠지기 시작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은 주식투자에서는 휴식기로서 현금보유비중을 늘려야 한다. 투자를 해도 주로 반등장에서의 짧은 투자만을 해야 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짧은 투자를 해도 조심해야 할 구간이다. 이번 글에서는 역배열 하락기에서 매매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위주로 설명을 하겠다.

 

역배열 하락기는 주가가 상승기에서 하락기로 추세가 변환되어 본격적으로 하락을 하는 구간이다. 즉 이동평균선이 240일선, 120일선, 60일선, 20일선, 5일선 순으로 역배열 되어 하락하는 구간이다. 아래로는 지지대가 없어 주가의 하락이 쉬워진다. 그래서 하락 기울기가 급해진다. 상승을 하여도 중장기 이동평균선이 위로 층층이 누르고 있어 쉽게 상승하기도 어렵다. 하락기간은 길고 상승기간은 짧아 주로 단기투자로 대응해야 한다. 또한 주식을 보유했다면 반등 시 보유주식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물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가급적이면 쉬어야 한다. 투자시기의 겨울이다. 단, 이 시기에도 정배열 상승하는 종목은 있다. 이런 종목 위주로 부분적으로 투자를 해도 된다.

 

 

위의 그림은 삼성SDI의 주가 차트이다. 주가가 240일선을 하락 돌파하여 역배열 하락을 시작하였다. 전형적인 역배열 하락기에서의 주가 차트이다. 5일선이 가장 밑에 있으며, 상승을 해도 20일선에서 저항을 받아 계속해서 떨어졌다. 그리고 아래로는 지지하는 이동평균선이 없다. 그래서 주가가 쉽게 하락을 한다. 반면 위로는 층층이 이동평균선이 누르고 있어 상승하기 어려운 구간이다.

 

5일선이 하락을 하다가 20일선과 이격이 커지면 수렴과 확산의 원리에 의하여 주가가 20일선으로 수렴한다. 이때가 하락장에서 주가가 상승을 하는 구간으로,  매매 구간이다. 이때는 기술적인 반등만을 한다. 기술적인 반등이란 주가가 많이 떨어졌기 때문에 저가 매수세가 단기적으로 유입하여 짧은 반등만을 하는 것을 말한다.

 

매매는 5일선이 20일선과 이격이 클 때 매수하여 상위 이동평균선과 수렴하였을 때 매도하면 된다. 즉 상위 이동평균선 및 전고점에서 저항을 받을 때 매도를 한다. 위의 차트에서는 아래의 둥근원에서 매수하여 위의 삼각형에서 매도를 하면 된다. 매매에 성공을 해도 수익은 적고 위험이 큰 구간이다. 경험이 부족한 투자가는 가급적 자제를 하는 것이 좋다.

 

 

위의 그림은 LG생활건강의 주가 차트이다. 주가가 240일선을 하락 돌파하여 역배열 하락을 시작하였다. 240일선 하락돌파시(위의 둥근원)부터 주가 바닥(아래 둥근원)까지가 역배열 하락기이다. 주가는 하락하는 동안 상위 이동평균선(60일선)을 맞고 계속해서 떨어졌다. 주가가 바닥에서 하락을 멈추고 추세를 전환하여 상승을 시도하였으나, 240일선에서 저항을 받아 다시 하락추세로 돌아가 하락을 지속하고 있다.  주가가 240일선 밑에 있을때에는 위와 같은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인 매수보다는 소극적인 매수를 하여야 한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이동평균선이 역배열로 하락할때 주가가 상승돌파를 하여도 상승추세를 오래 지속하지 못하고 다시 하락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따라 가서는 안된다. 위의 차트에서도 240일선이 역배열일때 주가가 상승 돌파를 시도하였으나, 저항을 받고 다시 하락하였다. 자세한 이유를 다음의 차트를 보고 설명하겠다.

 

 

위의 그림은 알테오젠의 주가 차트이다. 주가가 고점을 찍고 240일선을 하락돌파하여 역배열 하락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두차례 240일선 돌파를 시도 하였지만 실패를 했다.(두번째 원까지). 그러나 세 번째에서는 돌파를 하여 지지를 받으며 상승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돌파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첫 번째, 두 번째는 240일선이 역배열 일 때 돌파를 시도했다. 그리고 세 번째는 240일선이 수평일 때 돌파를 시도 했다. 이것이 차이 점이다. 즉 240일선이 역배열일 때 돌파를 시도하면 대부분 실패를 한다. 위의 LG생활건강도 이래서 실패를 한 것이다. 역배열일 때 돌파를 하면 5일선과 240일선이 역방향으로 이격이 극대화 되는 진행을 하므로 곧 수렴을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수렴은 장기 이동평균선인 240일선으로 수렴을 하므로 다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 때 상승돌파를 하여도 절대 따라가서는 안 된다.

 

 

위의 그림은 SK이노베이션의 주가 차트이다. 주가가 240일선을 하락 돌파하여 역배열 하락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두차례 240일선 돌파를 시도를 하였지만 실패를 했다.(두번째 상위 큰원까지). 그러나 세 번째에서는 돌파를 하여 지지를 받으며 상승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240일선이 역배열 일 때 돌파를 하면 대부분 실패를 한다. 매매는 240일선이 수평 또는 우상향으로 고개를 들 때 매매를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성공확률이 높다. 역배열 하락기에서 가장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다.

 

역배열하락기에서 매매는 기술적 반등장에서 단기매매를 하여야 하다. 매매는 5일선과 20일선이 이격이 클 때 매수하여 상위 이동평균선 또는 전고점에서 저항을 받을 때 매도하는 방법이 있다. 위의 그림에서 바닥의 작은원에서 매수하여 위의 삼각형에서 매도한다. 그러나 이것은 쉬운 매매가 아니다. 

 

정배열 상승장에서는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되어 있다. 즉 5일선이 가장 위에 있으며, 위로는 저항이 없어 주가가 쉽게 상승한다. 그래서 5일선이 20일선과 확산이 클 때 매도를 하고, 20일선 등 아래 이동평균선에 수렴하여 지지를 받을때에 매수를 한다. 반면에 역배열 하락장에서는 이동평균선이 역배열 되어 있다. 즉 5일선이 가장 아래에 있으며, 아래로 지지가 없어 주가가 쉽게 하락한다. 그래서 5일선이 20일선과 확산이 클 때 매수를 하고, 20일선 등 상위 이동평균선에 수렴하여 저항을 받을 때에 매도를 하면 된다.

 

역배열 하락기에서 매매를 하다가 매도시기를 놓치면 크게 손실을 볼 수 있는 구간이다. 아래로 지지하는 이동평균선이 없어 주가가 쉽게 하락을 하므로 대단히 주의를 해야 한다. 가장 위험이 크고, 수익이 적은 구간이다. 그래서 경험이 부족한 투자가는 매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주의사항

우하향하는 이동평균선을 상승 돌파하기란 굉장히 어렵다. 이때는 저항강도가 아주 커지게 된다. 돌파를 하여도 상승을 오래 이어가지 못한다. 그래서 비록 골든크로스가 발생하여도 따라가서는 안 된다. 위의 차트에서 설명한 것처럼 특히 240일선이 역배열 일 때 돌파를 하면 대부분 다시 하락을 한다. 역배열 하락장에서의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매매를 하면 손실을 보기 쉬우므로 매매를 자제하여야 한다.

 

요약하면 상위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 때 상승 돌파를 하여도 상승추세를 지속하지 못하고 대부분 하락을 하고, 상위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일 때 상승 돌파를 하면 상승추세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역배열 하락기에서의 골든크로스는 그리 좋은 신호는 아니다.